박근혜 탄핵전후 소비심리 ‘V’자
올 ‘美경제’ 변수작용 반등 안갯속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도 악재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고객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https://stg-wimg.heraldcorp.com/news/cms/2025/03/12/rcv.YNA.20250306.PYH2025030614850001300_P1.jpg)
경기침체와 소비위축이 꾸준한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내수 흐름에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서는 ‘박근혜 탄핵’ 당시와 유사하게 소비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미국발(發) 경기침체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소비자심리지수는 ‘V’자를 그렸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탄핵 여론이 본격화한 2016년 10월 103이던 소비자심리지수는 같은 해 11월 96, 12월 94로 하락하다가 2017년 1월 93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후 소비자심리지수는 반등해 2017년 3월 97, 탄핵 직후인 2017년 4월 102를 기록하며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100보다 크면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장기 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낙관적이라는 뜻이다. 반대로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앞둔 최근에도 소비자심리지수는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 등 윤 대통령 내외를 둘러싼 의혹이 불거졌던 지난해 11월 101이었던 지수는 계엄 직후(2024년 12월) 88까지 하락했다. 전월 대비 12%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거졌던 2008년 10월 이후 최대 낙폭이었다.
올해 소비자심리지수는 회복세가 뚜렷하다. 1월에 91이던 소비자심리지수는 2월에 95로 상승했다. 이는 3년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다만 여전히 100을 밑돌며 비상계엄 사태 이전 수준은 회복하지 못했다.
얼어붙은 소비심리는 ‘카드 사용액’에 반영됐다. 여신금융협회의 ‘2025년 1월 카드 승인 실적’에 따르면 올해 1월 소비 관련 업종 대부분의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운수업(7.6%)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교육서비스업(5.5%), 숙박 및 음식점업(1.8%),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1.7%),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1%)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교육서비스업 매출은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1월 이후 4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유치원, 정규 교육기관, 사설학원 등이 포함된 특성으로 교육서비스업 매출은 가계 소비의 ‘최후의 보루’로 불린다.
3월 이후 소비자심리지수가 상승할 것이라는 ‘낙관론’도 감지된다.
이은희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탄핵 심판 이후에도 정치적 갈등은 존재하겠지만 국정운영의 불안정성이 걷히고 지갑이 열릴 가능성이 크다”면서 “조기 대통령선거가 이뤄지면 자영업자를 비롯한 민생 지원정책이 나올 것이고, 탄핵이 이뤄지지 않아도 경기가 너무 어렵기에 각종 지원정책이 시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제는 대외 변수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소비심리 회복 추이는 비슷하겠지만 미국 경제가 변수”라며 “미국 주식이 급락하는 등 트럼프 2기 정부 초기 효과가 사라지면서 세계 경제의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소비심리를 살리기 위해서는 정부가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서둘러야 하는데 그마저도 난망하다”며 “추경으로 소비심리 개선의 발판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통업계도 비관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국내 대형마트 2위인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이 대형 유통 채널의 위기로 번질 수 있어서다. 공격적인 할인행사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로 변질될 우려도 제기된다. 이 경우 각종 프랜차이즈와 협력사를 비롯한 식품제조사 전반으로 위기가 확대될 수도 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 롯데그룹의 유동성 위기설부터 올해 홈플러스 사태까지 시장의 불안감을 키우는 사건이 이어지면서 기대감이 한풀 꺾인 상태”라며 “홈플러스가 당장 무너지지는 않겠지만 협력사가 적극적으로 판촉행사에 참여하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유통업계는 연말이 특수인데 지난해 각종 사건·사고로 그 수혜를 충분히 누리지 못했다”며 “지난해보다 낫더라도 올해도 유통업계의 침체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신현주 기자
newkr@heraldcorp.com